티스토리 뷰

 

문제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7
0110100
0110101
1110101
0000111
0100000
0111110
0111000

예제 출력 1 

3
7
8
9

 


풀이

이 문제는 앞에서 풀었던 배추 문제랑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1012번: 유기농 배추

1012번: 유기농 배추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

steelbeartaeng2.tistory.com

 

주어진 배열에서 인접한 값들을 찾고 그 무리 개수를 구하는 점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주어진 배열에서 단지별로 속하는 집의 수총 단지 개수를 구해라.

 

인접한 집들의 개수를 구해야하니 BFS를 이용해서 이 문제를 풀었다.

 

 


설계



예제를 보면 다음과 같다.

 

  • 총 단지 개수: 3
  • 단지별 집 개수 오름차순: 7, 8, 9

 

 

 

 

 


구현

 

1️⃣ 배열 탐색

 

  • 집이 존재하며, 방문하지 않았다면 탐색
  • 인접한 집들을 모두 탐색하였으니 다시 해당 단지를 방문할 일 없으니, totalCnt 증가

 

for i in 0..<N{
    for j in 0..<N{
        if arr[i][j] == 1 && !visited[i][j]{
            (bfs(i,j))
            totalCnt+=1 //단지 개수 증가
            cntArr.append(cnt)
        }
        cnt = 0//집 개수 초기화
    }
}

 

 

 

2️⃣ 단지 내 집 개수 찾기, 방문 처리 

 

  • 인접한 집들을 모두 찾아 방문 처리
  • 한 단지 내에 있는 모든 집들을 방문 처리해주는 과정이다.

 

func bfs(_ y: Int, _ x: Int) {
    visited[y][x] = true//방문처리
    queue.append((y,x))
    cnt+=1//집 개수 증가
    
    while !queue.isEmpty{//인접한 집 찾기
        let (currentY,currentX) = queue.removeFirst()
        for i in 0..<4{
            let newX = dx[i] + currentX
            let newY = dy[i] + currentY
            
            if newX < N && newY < N && newX >= 0 && newY >= 0 && !visited[newY][newX] && arr[newY][newX] == 1{
                visited[newY][newX] = true//방문처리
                queue.append((newY,newX))
                cnt+=1//집 개수 증가
            }
        }
    }
}

 

 

 


전체코드

 

 

let N = Int(readLine()!)!

var arr: [[Int]] = []

let dx = [0,0,-1,1]
let dy = [-1,1,0,0]

var visited = [[Bool]](repeating: [Bool](repeating: false, count: N), count: N)
var queue: [(Int,Int)] = []

var totalCnt = 0
var cntArr : [Int] = []
var cnt = 0

for _ in 0..<N{
    arr.append(readLine()!.map{Int(String($0))!})
}

for i in 0..<N{
    for j in 0..<N{
        if arr[i][j] == 1 && !visited[i][j]{
            (bfs(i,j))
            totalCnt+=1
            cntArr.append(cnt)
        }
        cnt = 0
    }
}
print(totalCnt)
cntArr.sort()
for i in 0..<cntArr.count{
   print(cntArr[i])
}

func bfs(_ y: Int, _ x: Int) {
    visited[y][x] = true
    queue.append((y,x))
    cnt+=1
    
    while !queue.isEmpty{
        let (currentY,currentX) = queue.removeFirst()
        for i in 0..<4{
            let newX = dx[i] + currentX
            let newY = dy[i] + currentY
            
            if newX < N && newY < N && newX >= 0 && newY >= 0 && !visited[newY][newX] && arr[newY][newX] == 1{
                visited[newY][newX] = true
                queue.append((newY,newX))
                cnt+=1
            }
        }
    }
}

 

'백준 > 백준 - 스위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93번: 동전 1  (1) 2024.01.09
10844번: 쉬운 계단 수  (0) 2023.12.18
11726번: 2×n 타일링  (0) 2023.12.14
1309번: 동물원  (0) 2023.12.12
1012번: 유기농 배추  (0) 2023.12.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