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View를 구현해보려고 한다. 📖 목차1. WebView를 왜 사용해야하는가?2. WebView 구현 종류 및 사용법3. WebView에 대한 고찰1. WebView를 왜 사용해야하는가? WebView를 사용하는 이유? 네이티브 앱이 있는데 왜 굳이 WebView를 사용해야하는가에 대한 생각이 있었다.WebView를 사용하는가장 큰 이유는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1️⃣ 크로스 플랫폼 지원 웹뷰는 한 번 작성된 웹 콘텐츠를 iOS, Android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그래서 플랫폼별로 별도의 네이티브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2️⃣ 배포 및 업데이트 용이성 iOS 네이티브 코드로 작성하면 앱 스토어의 심사 과정을 계속 거쳐서 통과받아야하는 단점이 있다.근데 ..

fastlane 설치와 작동법에 이어서 GitHub Actions에 대해 알아보자. [Swift] - fastlane + GitHub Actions CI 구축(1)📖 목차1. CI가 무엇인가2. 왜 fastlane + GitHub Actions를 사용하는가3. fastlane 설치 및 실행 1. CI가 무엇인가 CI(Continuous Integration)란 무엇인가? CI는 "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여러 개steelbeartaeng2.tistory.com 📖 목차1. GitHub Actions에 대해 알아보기2. GitHub Actions 구현해보기3. 프로젝트에 적용 및 오류 해결 이 포스팅은 오류 발생으로 인해 해결하지 못한 상태입니다,,1. GitHub Actions에 ..
이전에 포스팅했던 UnitTest 예제는 Quick과 Nimble을 사용하지 않고 XCTest를 사용했었다. [Swift] - UnitTest 예제(Given-When-Then 패턴)UnitTest를 공부하던 중 test코드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감이 안 잡혔다. 코드의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싶은데 이 부분이 어려웠다. 그러던 중 테스트 코드를 표현하는 방steelbeartaeng2.tistory.com 이전 포스팅 글과 같은 테스트 시나리오를 Quick과 Nimble을 사용해서 구현해보려고 한다. 1. Quick과 Nimble이란? Quick이란? Quick은 테스트를 상황별로 나눠 테스트의 구성요소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XCTest로 구현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 목차1. CI가 무엇인가2. 왜 fastlane + GitHub Actions를 사용하는가3. fastlane 설치 및 실행 1. CI가 무엇인가 CI(Continuous Integration)란 무엇인가? CI는 "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여러 개발자가 GitHub에 코드를 올리고 병합하는 단순한 과정을 말하는 줄 알았다. 하지만 CI는 이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CI는 개발자가 코드를 저장소(repository)에 푸시(push)한 후, 자동화된 테스트와 빌드 과정을 처리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왜 CI가 필요한가? 협업 프로젝트에서 코드 병합 후,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pull 받아 실행하고 테스트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은 수동적이고 비효율적이다.예를 ..

예제를 알아보기 전, 일단 rxswift를 설치해줘야 한다. GitHub - ReactiveX/RxSwift: Reactive Programming in SwiftReactive Programming in Swift. Contribute to ReactiveX/RxSwif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예제로 간단하게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는 로직을 구현해보고자 한다.api 연동은 안 되어있어서 연동된 것처럼 작동하도록 만들어보자. 📖 목차1. View 구현2. DispatchQueue를 사용해 ViewModel 구현3. RxSwift를 사용해 ViewModel 구현4. DispatchQueue와 RxSwift 비교5. 기능 추가..

RxSwift 많이 들어보기만 들어봤지,,, 어려울 것 같아 공부하지 않았던 친구를 알아보려고 한다. 📖 목차1. RxSwift가 무엇인가?2. Observable, Observer3. Subject 1. RxSwift가 무엇인가? RxSwift는 반응형(Reactive) + 비동기 처리 라고 생각하면 된다.RxSwift는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흐름과 변화를 "관찰"하고, 이 변화를 즉각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GitHub - ReactiveX/RxSwift: Reactive Programming in SwiftReactive Programming in Swift. Contribute to ReactiveX/RxSwift development by creating an..

swiftUI에서 텍스트에 따라 너비와 높이가 동적으로 조절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그래서 이번엔 텍스트에 따라 동적으로 너비와 높이가 조절되는 UI를 구현해보고자 한다. 1. 간단한 UI 구현 동적 UI를 적용하기 전에 간단하게 UI를 구현해 보자. struct ContentView: View { let content: String = "안녕하세요" let maxWidth: CGFloat = 151 var body: some View { ZStack{ Rectangle() .fill(.blue) .border(.black) .cornerRadius(6) ..
UnitTest를 공부하던 중 test코드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감이 안 잡혔다. 코드의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싶은데 이 부분이 어려웠다. 그러던 중 테스트 코드를 표현하는 방식인 Given-When-Then 패턴에 대해 접하게 되었다.이 패턴은 "어떤 상황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면 예상되는 결과는 무엇인가?"라는 방식으로 분리하여,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도록 돕는다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Given-When-Then 패턴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이해한 걸 바탕으로 간단한 Unit Test 예제에 적용해보자. 1. Given-When-Then Given-When-Then은 테스트 코드의 논리적인 흐름을 더 명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1️⃣ Given: 초기 상태 설정 (테스트 ..